자동차세 납부 조회 및 확인 방법 (위택스)

오늘은 자동차세 납부 조회 및 확인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많은 사람들이 차를 보유하고 있으며, 그런만큼 자동차세를 내기 마련인데요. 그러다가 바쁜일이 생기거나 급한일이 생기면 자동차세를 냈는지 안 냈는지 모르는 경우가 있습니다. 또한 이를 확인해야하는 상황이 있기 마련인데요. 오늘 자동차세 납부에 대해 확실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급하신 분들은 하기를 참고해주세요.

 

 

자동차세란?

대한민국 국민 중 자동차를 보유하고 있다면 모든 사람들이 세금을 내야합니다. 개인적으로 내돈내산한 차량인데 거기에 대한 세금을 낸다는게 좀 이상하긴 하지만,,어쩔 수 없긴하는데요. 자동차세는 아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.

  • 부과 대상 : 자동차 관리법에 따라 등록 및 신고된 차량
  • 납부 금액 : 차량의 배기량 및 연식에 따른 상이
  • 납부 시기 : 상반기, 하반기 나눠 일년에 총 2번 납부
    • 연간 납부 세액이 10만원 이하일 경우 상반기만 진행

2024년 기준으로 총 1,600만건에 납부를 고지하였으며, 약 1조 6천억원의 규모라고 하니 어마어마한 금액인 것 같습니다. 그렇다면 본격적으로 자동차세 어떻게 납부하고 조회하면 되는지 하기를 통해 살펴보겠습니다.

나의 자동차세 확인하기 🔍

 

 

자동차세 납부 조회

우선은 자동차세가 잘 납부되었는지 확인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. 그래야만이 얼마를 더 내야하는지 알 수 있기 때문인데요. 하기 여러가지 방법들이 있으니 본인에게 맞는 방법으로 진행해보시기를 바랍니다.

  1. 위택스 PC 활용
  2. 위택스 MO 활용
    • 앱 필요
  3. 서울시 ETAX 활용
    • 서울시 주민만 해당
  4. 지방자치단체 홈페이지 활용

01. 위택스 PC 활용

  1. 위택스 홈페이지 접속
  2. 로그인 진행
  3. 메인 화면 내 ‘나의 위택스’ 접속
  4. 지방세 조회 서비스 선택
  5. 자동차세 고지서 확인

위택스 홈페이지 바로가기 🔍

02. 위택스 MO 활용

  1. 어플을 설치합니다.
  2. 로그인 후 우측 상단 ‘설정’ 진입
  3. 설정 내 ‘납부 > 납부내역’ 선택
  4. 상세 검색을 누른 후 기간 및 관할자치단체 선택
  5. 세입 구분 내 ‘지방세’ 선택
  6. 조회 진행

위택스 APP 다운로드 🔍

03. 서울시 이택스 활용

  1. 이택스에 접속 후 로그인
  2. 메인 화면 내 지방세 조회 서비스 접속
  3. 자동차세 고지서 확인

서울시 이택스 바로가기  🔍

04. 지방자치단체 홈페이지

  1. 해당하는 지방자치단체 홈페이지 접속
  2. 로그인 시도
  3. 홈페이지 메뉴 내 “공과금 > 지방세” 선택
  4. 지방세 납부 조회 진행

 

 

자동차세 납부 조회기간

자동차세 납부 조회기간이 있습니다. 환경 개선 부담금 및 상하수도 요금과 같이 지방세 이외 수입은 2015년 부터만 조회가 가능합니다. 지방세에 해당하는 자동차세는 2011년 부터 조회가 가능하니 참고해주세요.

 

 

자동차세 연납 신청방법

자동차세도 자동 연납 신청이 가능합니다. 또 좋은 점은 일괄납부를 하게되면 1.3 ~ 4.6% 까지 할인을 받을 수 있는데요. 하기를 참고해보시길 바라겠습니다.

연납 신청 바로가기 🔍

 

 

자동차세 완납증명서 발급방법

성실히 납부를 해왔다면, 완납증명서를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. 체납액 없이 세금을 잘 내고 있다는 증빙 서류 중 하나로 간혹가다가 이러한 서류들이 필요한 경우가 생기는데요. 하기를 참고해보시길 바라겠습니다.

증명서 발급 바로가기 🔍

 

 

참고

 

 

마무리하며

이상으로 오늘 자동차세 납부 조회 및 방법 등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. 여러모로 관심 있으신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고 잘 참고하셔서 본인에게 맞는 방법으로 진행하시길 바라겠습니다. 감사합니다.

자동차세-납부-조회